교육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교육이란 알아가는 것이다. 단순히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참인지 거짓인지 아는 것이며, 그 과정도 중요하다. 그래서 정보를 얻게 되었을 때 진실인지 아닌지 비판적으로 확인하는 행동은 자연스럽다. 안다는 것은 행동을 일으킨다. 아는 것이 크고 중요한 것일 수록 더 많은 행동을 불러온다. 그래서 지식인들(소위 학자들)은 시국선언을 한다. 알기 때문에 문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교육학적 사고는 비판적사고다. 그래서 교육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며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알아가는 것이다. 환경 속에서 역할, 해야할 일을 깨닫고 필요한 준비를 해나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1 노래는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다른 질문 : 목소리는 어떻게 나오는가? 목소리 어떻게 나오는가? (위치 : 성대, 배-호흡) 물리적인 소리(Hz)는 성대에서 시작되지만, 호흡(공기) 없이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 인터스텔라 결론 : 성대의 울림을 위한 호흡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호흡은? 호흡하는 이유 1. 몸의 각 기관에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2. 노래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사실 날숨만 있으면 된다. 그러나 날숨을 하려면 반드시 들 숨이 필요하고 이 두 가지를 합친 것이 호흡이다. 호흡은 들숨과 날숨의 연속이다. 평상시 : 들숨과 날숨이 고르다. 노래시 : 들숨은 짧고 날숨이 길다. - 들숨이 짧아지면서 한 가지 문제가 생긴다. 바로 복식 호흡이 아니라 흉식 호흡이 되는 것이다. 그..